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spring
- PDF병합
- 반복문 탈출
- 스프링부트 쇼핑몰 프로젝트
- Visual Basic
- Git
- 체인호출
- 연관관계
- break-label
- 테킷
- orm
- querydsl
- 값 타입
- responsepart
- springboot
- 부트캠프
- Java
- DOCS
- 제작기
- Hibernate
- 코딩테스트
- JPA
- VB
- GitFlow
- 커밋 컨벤션
- 프로그래머스
- 멋쟁이사자처럼
- 알고리즘
- spring jpa
- PDFBOX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포인터 (1)
섭섭한 개발일지

자바에서는 포인터라는 단어를 본 적이 없을 것이다. 포인터는 주로 C언어에서 다루는 자료구조이다. 포인터는 Low level 언어에서 사용되며 개발자가 컴퓨터의 메모리에 직접적으로 접근해서 제어할 수 있는 도구다. 조금 더 친숙하게 알아보자 int a = 10; 위 코드에서는 10을 a라는 변수에 저장을 했다. 변수의 개념을 처음 배울때로 거슬러가면 나는 변수를 상자에 비유해서 배웠었다. A라는 이름의 상자에 10을 넣는 것이다. 여기서부터 포인터를 이해하려면 자료가 저장되는 개념에 대해서 알아야한다. 예시에서 사용한 int 자료형으로 개념을 알아보자 int 자료형의 크기는 4byte 다 아래 그림과 같은 메모리 공간에 10이라는 숫자를 저장하는 것이다. 메모리 공간은 바이트마다 고유의 주소값을 가지고 ..
CS/Data Structure
2024. 4. 11. 22:29